애드센스 승인받기가 어렵다고 느껴지시나요? 블로그를 개설하고 기본적인 세팅을 마쳤다면 이제 애드센스 승인 절차를 진행할 차례입니다. 많은 분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이지만,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SEO에 맞는 글을 작성하면 빠르게 승인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드센스를 빠르게 승인받는 핵심 전략과 세팅 방법을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zF4nhE6K_c&t=304s

1. 애드센스 승인 전 필수 준비 사항

애드센스를 빠르게 승인받으려면 두 가지 핵심 사항을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 구조적인 문제 해결
  • SEO에 맞는 글 작성

이 두 가지를 충족하지 않으면 승인 과정에서 거절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니 순서대로 차근차근 따라와 주세요.

2. 구조적인 문제 해결하기

① 구글 애드센스 가입

애드센스를 승인받으려면 애드센스 계정이 필요합니다.

  1. 구글에서 "애드센스"를 검색합니다.
  2. 구글 애드센스 공식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3. "회원 가입"을 진행한 후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4. 본인의 블로그 URL을 입력합니다. (예: https://블로그주소.tistory.com)
  5. 국가(대한민국)를 선택하고 약관에 동의한 후 가입 완료합니다.

② 애드센스 광고 코드 삽입

애드센스 광고를 승인받기 위해서는 광고 코드를 블로그에 삽입해야 합니다.

  1. 애드센스 계정에서 "코드 가져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생성된 코드를 복사한 후 티스토리 블로그 "HTML 편집" 메뉴로 이동합니다.
  3. <head> 태그 안에 복사한 코드를 붙여넣고 저장합니다.

💡 주의사항

  • HTML 코드를 수정할 때는 다른 부분을 건드리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코드가 올바르게 삽입되었는지 확인한 후 저장하세요.

③ 구글 서치 콘솔 연동

구글 서치 콘솔은 검색 엔진 최적화(SEO) 및 애드센스 승인을 위해 반드시 연동해야 합니다.

  1. 티스토리 블로그 "플러그인" 메뉴에서 "구글 서치 콘솔"을 선택합니다.
  2.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계정 연결"을 클릭합니다.
  3. "사이트맵 제출"에서 rss를 입력한 후 제출 버튼을 누릅니다.
  4. 정상적으로 등록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이제 기본적인 구조 세팅이 완료되었습니다! 🎉

3. SEO 최적화된 글 작성하기

애드센스 승인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블로그 콘텐츠의 품질입니다.
즉, 단순히 많은 글을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SEO(검색 엔진 최적화)에 맞는 글을 작성해야 합니다.

✅ SEO 최적화 글 작성법

  • 최소 10개 이상의 글 작성 (각 글은 800~1,500자 이상)
  • 중복 콘텐츠 금지 (자신만의 창의적인 글 작성)
  • 유용한 정보 제공 (방문자들에게 가치를 주는 글)
  • 적절한 키워드 활용 (제목, 본문, 태그에 키워드 포함)
  • 이미지 및 내부 링크 삽입 (가독성 및 체류 시간 증가)

다음 포스팅에서는 SEO 최적화된 글을 작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알려드릴 예정입니다. 😊

4. 마무리

애드센스를 빠르게 승인받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SEO 최적화된 글을 작성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지금까지 알려드린 방법대로 차근차근 따라 하시면 어렵지 않게 애드센스 승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조금 더 구체적인 SEO 글쓰기 방법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룰 예정이니 기대해 주세요!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는 경우, 구글 검색 결과에 내 블로그 글이 잘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색인(Indexing) 작업이 필요합니다. 구글 서치콘솔(Search Console)을 활용하면 색인 상태를 확인하고 수동으로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구글 서치콘솔의 기본 사용법과 티스토리 블로그 색인 요청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PHH0xHFe50

1. 블로그 색인의 필요성

티스토리 블로그를 만들었다고 해서 자동으로 검색 결과에 노출되는 것은 아닙니다. 구글이나 네이버 같은 검색 엔진에서 블로그를 찾을 수 있도록 색인 작업이 필요합니다.

  • 색인은 검색 엔진이 블로그 글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입니다.
  • 색인이 되지 않으면 블로그 글이 검색 결과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 특히 신규 블로그나 방문자가 적은 블로그는 자동 색인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글 서치콘솔을 활용하여 색인 요청을 직접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2. 구글 서치콘솔 소개

구글 서치콘솔은 구글에서 제공하는 무료 웹사이트 관리 도구로, 내 블로그가 구글 검색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확인하고 최적화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주요 기능

  • 사이트 색인 상태 확인
  • 검색 트래픽 분석
  • 모바일 사용성 문제 감지
  • 검색 결과 내 오류 수정

3. 구글 서치콘솔 등록 방법

URL 접두어 내 블로그 주소 입력

구글 서치콘솔을 사용하려면 먼저 블로그를 등록해야 합니다.

  1. 구글 서치콘솔 접속
  2. 속성 추가 → "URL 접두어" 선택
  3. 내 블로그 주소 입력 후 '계속' 클릭
  4. 소유권 인증 진행

이제 내 블로그가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됩니다. 하지만 아직 색인이 자동으로 되는 것은 아닙니다. 추가 설정이 필요합니다.

4. HTML 태그로 소유권 인증

구글은 내 블로그가 실제로 내 소유인지 확인하기 위해 HTML 태그 인증을 요구합니다.

  1. HTML 태그 복사 - 구글 서치콘솔에서 제공하는 HTML 메타 태그를 복사합니다.
  2. 티스토리에서 HTML 태그 추가 -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 → 스킨 편집HTML 편집<head> 태그 안에 붙여넣기
  3. 구글 서치콘솔에서 확인 버튼 클릭

성공적으로 인증되면 블로그 소유권이 확인됩니다.

5. 사이트맵 및 RSS 등록

색인을 더 빠르게 하기 위해 사이트맵(Sitemap)과 RSS 피드를 등록하는 것이 좋습니다.

  1. 구글 서치콘솔 접속 → '사이트맵' 메뉴 클릭
  2. 사이트맵 URL 입력
    • 일반적으로 티스토리 사이트맵 주소는 https://블로그주소/sitemap.xml
    • RSS 주소는 https://블로그주소/rss
  3. 제출 버튼 클릭 후 색인 진행 확인

6. 색인 요청 및 처리 시간

구글 서치콘솔에 블로그를 등록하고 사이트맵까지 제출했더라도, 자동 색인까지는 최대 2~3개월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이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수동 색인 요청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7. 수동 색인 요청 방법

구글 서치콘솔에서는 특정 URL을 직접 제출하여 빠르게 색인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수동 색인 요청 절차

  1. 구글 서치콘솔 접속 → 'URL 검사' 클릭
  2. 색인을 원하는 블로그 글 주소 입력
  3. '색인 생성 요청' 버튼 클릭
  4. 검토 후 색인 진행 (최대 1~2주 소요)

💡 하루 최대 10개의 URL까지 색인 요청이 가능합니다.

8. 마무리

구글 서치콘솔을 활용하면 티스토리 블로그 색인을 빠르게 요청할 수 있습니다.

  • 구글 서치콘솔 등록 및 소유권 인증
  • 사이트맵 및 RSS 제출
  • 수동 색인 요청으로 빠른 검색 반영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한다면 정기적으로 색인 상태를 확인하고, 새로운 글을 작성할 때마다 수동 색인 요청을 하는 것이 검색 노출에 유리합니다.





1. 공익직불금이란?

공익직불금은 농업과 농촌의 공익적 기능을 높이고, 농업인의 소득 안정을 위해 정부에서 지급하는 보조금입니다. 농업인이 일정한 자격을 갖추고, 정해진 준수사항을 지키면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이죠.

2. 2025년 공익직불금의 주요 변경 사항

2025년에는 몇 가지 중요한 변화가 있습니다. 첫째, 면적직불금 지급 단가가 5% 인상되었습니다. 이제 1헥타르(ha)당 136만 원에서 215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둘째, 직불 등록정보 변경 기간이 9월 30일까지로 연장되어 농업인들의 신청 편의성이 높아졌습니다.

3. 신청 대상 및 자격 요건

소농직불금 지급요건 및 수준

공익직불금을 신청하려면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농업경영체에 등록된 농업인 또는 농업법인
  • 실제 농지를 경작하는 자
  • 농업 외 소득이 3,700만 원 미만인 자
  • 소농직불금의 경우, 농지 면적 0.5ha 이하, 영농 종사 기간 3년 이상, 농촌 거주 기간 3년 이상 등의 추가 요건이 있습니다.

4. 신청 방법

(1)비대면 신청

비대면 신청은 2024년 공익직불금 등록정보와 2025년 농업경영체 등록정보에 변동이 없고, 자격요건 사전검증 결과 적격한 농업인이 대상입니다. 신청 기간은 2025년 2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입니다.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인터넷, 모바일: 농림사업정보시스템 https://uni.agrix.go.kr/easyapply.jsp   에 접속하여 신청합니다.
  • 전화(ARS): 공익직불제 콜센터(☎1334)로 전화하여 내선 1번(비대면신청)을 선택합니다.

(2)방문 신청

비대면 신청 대상이 아니거나, 비대면 신청을 하지 못한 농업인은 방문 신청을 통해 공익직불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기간은 2025년 3월 4일부터 4월 30일까지이며, 농지 소재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여 신청하면 됩니다.

5. 신청 시 유의사항

  • 신청 기간 준수: 신청 기간을 놓치면 직불금을 받을 수 없으므로 반드시 기간 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 준수사항 이행: 영농폐기물 적정 관리, 영농일지 작성·보관, 마을공동체 활동, 교육 이수 등 17개의 농업인 준수사항을 이행해야 합니다. 이를 지키지 않으면 직불금이 감액될 수 있습니다.
  • 교육 이수: 공익직불금을 받으려면 필수적으로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교육을 이수하지 않으면 직불금이 감액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기한 내에 교육을 수료해야 합니다.

6. 지급 절차 및 일정

공익직불금 신청 후에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칩니다:

  1. 등록증 발급: 신청 기간 종료 후 5~6월경 직불금 신청자에게 등록증을 발급합니다.
  2. 현장 점검: 5~9월 사이에 준수사항 이행 여부와 실경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현장 점검이 이루어집니다.
  3. 지급 대상자 및 지급액 확정: 10월에 지급 대상자와 지급액이 확정됩니다.
  4. 직불금 지급: 11월부터 직불금이 지급됩니다.

+ Recent posts